|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TypeScript
- Mongoose
- MongoDB
- Flutter
- ES6
- JavaScript
- node.js
- API
- HTML
- NextJs
- ECMAScript
- react
- pug
- Component
- GRID
- heroku
- nodejs
- 자바스크립트
- backend
- Session
- frontend
- clonecoding
- 리액트
- javscript
- CSS
- graphQL
- form
- CLONE
- express
- DART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13)
Enjoy Programming
이번에는 댓글 모델을 만들어주자. 뭐 비디오 밑에 댓글다는 기능을 만들어야 하니~~~ 역시 models폴더에 Comment.js파일을 만들어 주고 코멘트 스키마를 정의해준다. 그리고 Comment라는 모델을 만들어주고 export한다 여기서 한가지 옵션이 더 들어가는데 comment가 어떤 비디오의 코멘트인지 연결될 지점이 없다는 것이다. 이부분은 video또는 comment모델스키마 정의부분에 정의해주면 되는데 두가지 옵션중 하나를 선택하면된다. 하나는 코멘트에 해당 비디오 id를 연결해서 보여줄 건지 아니면 비디오에 해당 코멘트들의 id를 배열로 넣어서 보여줄건지 이다. 둘중에 편한걸 쓰면 되는데 방법은 두가지중 하나를 쓰면 된다. mongoose.Schema.Types.ObjectId를 타입으로 주..
몽고 db의 장점은 document를 줄여준다는 것이다., document는 바로 JSONfile 몽고db에 개발자의 파일들이 어떤식으로 생겨야 할 지 알려줘야 한다. 일종의 validation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파일들은 video라는 이름을 가지고 모든 비디오들은 string type이며 string의 이름은 title이다. 그리고 videos는 view를 가지게 되고view는 number type이다 라고~ 알려주는? 그런 것이다. 일단 models라는 폴더를 만들고 거기에 저장해주자. 그리고 Video.js파일을 하나 만들어주고 안에 model과 schema를 설정해주자 model은 document name이며 schema는 형태이다 여기서 잠깐... 잠시 몽고디비를 배웠을때 mongodb는 ..
음 작성을 하면서도 이걸 이 카테고리에 넣는게 맞나 싶다.. 만 차후에 카테고리 수정을 해주자.. 현재는 유튜브 클론코딩을 하면서 함께 진행하고 있으니 분리에 무리가 있다 ..내 머리론...ㅋㅋㅋ 이제 dotenv를 구성해보자. 먼저 root폴더에 .env파일을 생성해주고 변수를 만들어주자 현재는 많은 변수를 만들게 없다.. 어짜피 로컬호스트에서 진행을 하니까 .. 맛만 보는정도~ 이렇게 변수를 지정해주고 db파일로 가서 기존에 url주소를 삭제해준다. 그리고 dotenv를 임포트 해주자~ 그리고 dotenv.config()라는 함수로 .env파일에 있는 변수 정보들을 불러 올 수 있다. 그렇게 찾아온 모든 변수들을 process.env.key에 저장하게 된다. 아까 작성한 url 변수를 process...
음 작성을 하면서도 이걸 이 카테고리에 넣는게 맞나 싶다.. 만 차후에 카테고리 수정을 해주자.. 현재는 유튜브 클론코딩을 하면서 함께 진행하고 있으니 분리에 무리가 있다 ..내 머리론...ㅋㅋㅋ 이제 dotenv를 구성해보자. 먼저 root폴더에 .env파일을 생성해주고 변수를 만들어주자 현재는 많은 변수를 만들게 없다.. 어짜피 로컬호스트에서 진행을 하니까 .. 맛만 보는정도~ 이렇게 변수를 지정해주고 db파일로 가서 기존에 url주소를 삭제해준다. 그리고 dotenv를 임포트 해주자~ 그리고 dotenv.config()라는 함수로 .env파일에 있는 변수 정보들을 불러 올 수 있다. 그렇게 찾아온 모든 변수들을 process.env.key에 저장하게 된다. 아까 작성한 url 변수를 process...
6번째 챌린지한 결과물이다~ 생각보다 오래 안걸렸다.. 이번에도 기분좋게 내 작품이 올라왔다 ㅎㅎ;; 기분 좋구만 이러면 더 열심히 하게된다.. 이번 작품은 코드가 좀 길어서 깃헙 주소로 대체한다~ github.com/lee-tae-eon/css-master/tree/css-challenge/challenge6 lee-tae-eon/css-master nomad coder css master class. Contribute to lee-tae-eon/css-mast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사실 바로바로 코드리뷰하면서 올렸어야 되는데.. 요새 아들이 두드러기랑 감기가 걸려서 병원다니느라 좀 소홀했다 ㅠㅠ 그래서 밤사이 공부하..
이번 과제 완성작이다. 이것도 반응형이고~~~ 역시 grid와 flex-box를 활용해서 만들었다. 주요한건 바디에서 grid-templat-columns, rows를 이용해서 3X4그리드를 만들었고 최소는 max-content, column은 1fr row는 33%씩주고 빨간 부분은 span2를 주고 리스트 부분은 grid-row: span3을 줘서 할당했다. 특별히 많이 활용한건 grid-column과 grid-row를 많이 활용했다. 코드를 보자~ 이렇게 보니 복잡하긴 하다.. 근데 나름 layout에 대한 느낌을 더 많이 생각하게된? 계기였다 참고로 챌린지서 처음으로 내 작품이 올라왔다 ㅋ 기분이 좋았다 ㅋㅋㅋ 나이가 먹어도 이런건 기분이 좋다.